스테이블 디퓨전 서버 접속 – 맥에서 NVIDIA GPU 사용하기

본 글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 접속을 통해 맥에서 간편하게 NVIDIA GPU를 누리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단, 본문에서 소개드리는 방식은 스테이블 디퓨전이 구동되는 NVIDIA GPU 기반 PC가 따로 있고, 맥과 같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합니다.

최근 AI 관련 기술들은 대부분 NVIDIA 그래픽 카드를 기반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에서는 자사 제품에 더이상 NVIDIA 그래픽 카드를 탑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은 바 있고 실제로 현재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맥으로 라인업을 모두 갈아엎은 상황입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또한 NVIDIA GPU를 이용해야 어느정도 쾌적하게 돌릴 수 있는데요, 그럼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그림을 그리려면 항상 윈도우 머신을 사용해야 하는걸까요? 다행히도 만약 윈도우 머신을 이미 운용중이시라면 맥에서도 그 자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의 개념

스테이블 디퓨전을 구동하기 위해 Automatic1111의 WebUI 또는 ComfyUI를 실행하면 터미널 창이 열리고 여러 전처리들이 끝난 후 http://127.0.0.1:XXXX와 같은 아이피 주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최신 버전의 WebUI의 경우 아예 PC의 기본 웹브라우저가 열리면서 해당 주소로 자동 접속되기도 하는데요, 우리가 WebUI, ComfyUI를 이용하는 동안 검은 터미널은 항상 종료되지 않고 켜져있어야 합니다.

이 때 터미널이 켜져 있는 상태를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가 실행중인 상태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가 WebUI 및 ComfyUI를 실행하면 실제로는 WebUI 및 ComfyUI 서버를 실행한 상태입니다. 서버가 실행되어 있으므로 해당 PC 내의 임의의 브라우저를 실행한 뒤 해당 서버의 주소(터미널에 나타난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면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로 접속되어 구동중인 UI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여기서 http://127.0.0.1은 Localhost라고도 불리며, 내부 네트워크 내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아이피 주소 입니다. 아이피 주소 뒤에 :7860 또는 8188은 포트라고 불리며 해당 아이피+할당된 포트로 접속하면 서버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실행중인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서 터미널 창에서 ctrl+c를 누르거나, 터미널을 닫아버리면, 웹브라우저에서 위 아이피로 접속하더라도 서버가 종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UI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 접속 방법

그럼 우리가 스테이블 디퓨전을 이용할 때 서버를 열어두고, 서버에 접속해서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을 알았으니, 반대로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를 열어두고 맥에서 해당 서버를 접속하면 맥에서도 WebUI 또는 ComfyUI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단, 이용하려는 서버 PC(윈도우+NVIDIA)와 맥이 동일 네트워크 내(같은 와이파이 또는 같은 모뎀 아래 연결)에 있어야 합니다. 그럼 WebUI 및 ComfyUI 서버 접속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Automatic1111 WebUI

WebUI는 보통 webui-user.bat 배치파일을 실행시켜 사용합니다. 해당 배치파일을 [마우스 우클릭 > 편집]으로 열어 다음과 같이 set COMMANDLINE_ARGS= 부분에 –listen을 추가로 입력한 뒤 저장합니다.

webui-user.bat --listen 추가

이제 이렇게 수정된 webui-user.bat 파일을 실행하면 webui 서버가 로컬 네트워크 내 다른 사용자들도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단, –listen을 입력하기 전과 달리 접속 주소가 http://0.0.0.0:7860으로 바뀌게 되는데요, 이 때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 PC의 아이피를 확인해야 합니다.

ipconfig 확인

IP 확인 방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키+R 또는 시작표시줄 검색창에 CMD를 입력해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터미널에서 ipconfig라고 입력후 엔터를 치면 위와 같은 정보가 나타납니다. 예시 이미지의 경우 PC가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기 때문에 무선 LAN 어댑터 Wi-Fi 부분에 IPv4 주소 부분에서 PC의 내부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사용중인 PC가 유선 랜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이더넷 어댑터 부분에서 IP 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 접속 webui

현재 해당 PC의 내부 IP 주소는 172.30.1.88이므로, 맥에서 웹 브라우저를 열고 http://172.30.1.88:7860으로 접속하면, 위 그림과 같이 맥에서 윈도우 PC에서 구동중인 스테이블디퓨전 서버에 접속하여 자유롭게 WebUI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ComfyUI

마찬가지로 ComfyUI에서도 서버 실행 시 내부 네트워크 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comfyui --listen 붙이기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위 이미지와 같이 가상환경 진입 후 ComfyUI를 실행할 때 python main.py 뒤에 –listen을 붙여 실행하면 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 접속 comfyui

이후 맥에서 스테이블 디퓨전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위와 동일합니다. 터미널에서 ipconfig를 입력해 ip주소를 확인한 뒤 포트 번호를 8188로 붙여 접속합니다. 따라서 예시에서는 http://172.30.1.88:8188로 접속하게 됩니다. 이렇게 접속하면 맥에서도 이제 ComfyUI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서버 PC의 그래픽카드를 활용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