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이미지 AI 배경 채우기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가능할까?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분들이 이런저런 다양한 방식으로 현업에 AI 그림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습니다. 수많은 응용 영역이 있겠지만, 본문에서는 AI 배경 채우기를 적극 활용해 그럴듯한 상품 이미지를 만들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상품 이미지 구하기

먼저 이번 도전은 피사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배경을 생성하는 방식이므로, 주 피사체가 되는 상품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사물을 생성해서 사용해도 되겠지만, 실제로 상업용 이미지를 제작한다는 느낌으로, 상품 이미지를 다운받은 뒤 배경을 생성해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미지 사이트에서 위와 같이 perfume bottle로 검색하여 향수병 이미지를 다운받았습니다. 해당 이미지는 이미 향수병의 바닥이 반사되어 보이는 부분과 배경 등이 있기 때문에, 포토샵(또는 포토피아, 포토스케이프 X, GIMP 등 유사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사용 권장)으로 배경을 지우고 아래와 같이 상품 자체만 남겼습니다.

어차피 배경을 지우는 김에 위와 같이 2개의 마스크도 함께 생성해주었습니다. 하나는 피사체가 흰색, 배경이 검은색인 마스크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와 정 반대로 피사체가 검은색, 배경인 흰색인 마스크 입니다. 마스크를 2개나 만드는 이유는 각각의 설정(inpaint masked & inpaint not masked)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함입니다.

상품 이미지 AI 배경 채우기

위에서 이미 생성에 사용할 이미지를 다 준비했기 때문에 곧바로 스테이블 디퓨전을 실행하고 배경을 생성해보겠습니다. 먼저 이미지의 품질과 피사체를 얼마나 잘 인지하는가에 따라 생성되는 결과 이미지의 품질에도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단계별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인페인트 Upload

Positive Prompt : (best quality:1.5), (realistic:1.5), spring, outdoors, cherry blossoms, warm, soft lighting,

먼저 위 이미지들은 SD1.5 모델을 이용해 인페인트 업로드(Inpaint Upload)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한 결과입니다. 프롬프트에는 인물을 넣지 않았지만, 인페인트 영역으로 마스킹 되지 않은 상품 근처에 인물이 등장하거나, 꽃이 등장하는 모습입니다. 프롬프트 상 향수병이 있다는 사실과 그 병의 위치 등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지 않으면 이처럼 제품과 무관한 배경을 생성할 확률이 매우 높았습다.

SDXL + 프롬프트 수정

Positive Prompt : (best quality:1.5), (realistic:1.5), spring, commercial product photography, outdoors, cherry blossoms, warm, soft lighting, perfume bottle is placed on the table,

이번에는 해당 그림이 제품 사진(commercial product photography)이고, 제품이 테이블 위에 놓여(perfume bottle is placed on the table)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를 통해 인지시켜주었습니다. 또한 조금 더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SDXL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그러자 아까와는 달리 인물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원본을 앞에 두고 그 뒤에 새로운 향수병이 생성되면서 이미지가 만들어졌습니다.

SDXL + 소프트 인페인트(Soft Inpaint)

이번에는 SDXL 모델 및 프롬프트를 동일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Soft Inpaint 기술을 적용해보았습니다. 참고로 소프트 인페인트는 Automatic1111 WebUI의 1.8 버전을 업데이트해야 사용 가능한 기술입니다. WebUI 업데이트 및 소프트 인페인트 사용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ositive Prompt : (best quality:1.5), (realistic:1.5), spring, commercial product photography, outdoors, cherry blossoms, warm, soft lighting, perfume bottle is placed on the table,

ai 배경 채우기 소프트 인페인트 결과 이미지

이번에는 기대한대로 상품 원본 이미지는 살린 상태에서 배경을 꽤 그럴듯하게 그려주고 있습니다. 제품 속 기존 문구인 BRAND NAME을 AIPOQUE & Stable Diffusion으로 바꾸는 작업은 간단히 포토샵으로 해결했으나, 만약 원하신다면 이또한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진행 가능한 부분입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원본 이미지 속에 글자를 새기는 작업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결과 이미지에서 눈여겨볼 점은 제품을 마스킹하고 배경을 그렸음에도, 상품의 반사되는 영역이 테이블 위에 표기된다는 점입니다. 이 덕분에 두 사진 모두 그럴듯한 이미지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좌측과 우측 이미지를 언뜻 보면 둘 모두 비슷하게 잘 그려진 것 같지만, 조금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우측 이미지의 경우 제품을 감싸는 테두리 영역이 상대적으로 밝은 흰색으로 그려져 배경과 이질감을 느끼게 합니다. 원본과 달리 향수 뚜껑도 조금 더 입체적으로 변형이 일어났으며, 유리병의 하단 형상도 각진 받침 모양으로 변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맺음말

이번 제품이미지 AI 배경 채우기 테스트를 통해 배울 수 있었던 점은 상품 이미지 배경을 채우는 작업에서는 아무래도 인페인트 설정값을 어떻게 할당하느냐에 따라 굉장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단순히 이미지 수정을 위해 인페인트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면 비단 마스크의 종류 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설정값도 결과 이미지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는 점, 마스크 자체를 애초에 정교하게 그리는 것도 중요하며, 크게 중요해보이지 않았던 사소한 인페인트 설정값에도 신경을 써줘야 쓸만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