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광고모델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화장품을 들게 만들기

인공지능 기술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AI 광고모델 또한 조만간 우리 생활 속 미디어 전반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상업용 AI 광고모델의 퀄리티만큼은 아닐지라도 스테이블 디퓨전을 잘 활용하면 가정에서도 어느정도 쓸만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AI 광고모델을 한 번 그려보았습니다. 본문에서는 A1111 WebUI를 이용해 핸드크림을 든 AI 광고모델을 그린 결과 이미지와 그 과정을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I 광고모델

이전 포스팅에서도 보셨다시피 애포크에서는 상품 이미지 AI 배경채우기, AI 쇼핑몰 모델 그리기 등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상업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굉장한 관심을 가지고 수시로 이런 저런 시도와 도전을 해보고 있습니다.

만약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광고 이미지 제작이 가능하다면 번거로운 스튜디오, 로케이션 촬영이 필요없고, 모델 섭외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광고비를 절약할 수 있을테고, 개인 입장에서는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이미지를 손쉽게 집에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앞으로 굉장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수요가 많은 기술을 미리 익혀두면 나만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품 배경 채우기

먼저 인물이 등장하는 상품 이미지를 만들기 전에, 상품을 그대로 살리면서 배경을 채워넣는 작업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본문에서는 아래의 핸드크림 목업 이미지로부터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상품 목업이미지

상품 배경을 채우는 전반적인 작업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도 소개드린 바 있지만,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부분을 고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모드, 마스크 블러값, 소프트 인페인트 사용 여부 등을 적절하게 잘 조율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원치 않은 부자연스러운 실패 이미지를 만들어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AI 광고 이미지 실패 예시

위의 실패 이미지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상품과 배경의 경계가 모호하고, 배경이 상품 이미지를 침범하여 원본 상품이미지가 훼손되거나, 의도치않은 뚜껑이 하나 더 생성되거나, 상품의 끝부분이 더 길게 생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페인트 작업 시 적절한 마스크 모드와 마스크 블러값을 사용하고, 상품 이미지의 위치와 크기 등을 사용자가 잘 판단해 스테이블 디퓨전이 필요 없는 부분을 그리지 않도록 조율해줘야 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이런 설정들을 조율해가면서 비교한 상품 이미지 생성 결과입니다.

AI 상품 배경이미지 마스크 블러값에 따른 경계 비교

설정한 마스크 블러값과 모드에 따라 상품과 배경의 경계가 다르게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려는 배경과 상황 및 사용자의 연출 의도에 따라 경계 처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설정값이 항상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최소한 본 예시에서는 마스크 블러값을 최소화하여 상품과 배경의 경계가 명확한 우측 하단 이미지가 상품 이미지로는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품 배경 이미지 AI 아웃페인팅 및 로고 작성

한편, 상품과 배경의 경계를 잘 구분하고, 뚜껑이 하나 더 생기는 등의 원치않는 그림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위와 같이 배경을 확장하거나, 배경에 텍스트를 새기는 등의 작업을 추가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배경 확장을 위한 아웃페인팅 기술과, 텍스트 로고를 디자인하는 기술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 본문 속 예시 이미지의 구체적인 설정값과 배경확장 및 텍스트로고 작업에 대한 설명은 AIPOQUE 스테이블 디퓨전 마스터 패키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I 광고모델 그리기

이제 상품 배경을 채우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므로 본격적으로 상품이미지에 AI 광고모델을 등장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핸드크림을 들고 있는 모델을 그리기 위해, 참고할 인물 이미지를 구글링해야 합니다. 본 예시에서는 고혼진 화장품을 든 손예진님 사진을 베이스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AI 광고모델을 그리는 대략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AI 광고모델 생성과정
  1. 상품 이미지 준비
  2. 인물 이미지 준비
  3. 상품 & 인물 합성 및 마스크 이미지 준비
  4. 컨트롤넷 및 인페인트 진행 후 손보정

상품이미지와 인물이미지는 위와 같이 상품의 각도와 크기 등을 고려해 적당한 이미지를 준비하면 됩니다. 이후 둘을 합성할 때는 상품의 크기만 잘 조절해 인물 이미지 위에 올려주시면 됩니다. 어차피 추후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생성할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도와 위치만 맞춰줍니다.

합성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트롤넷을 활용해 인물의 자세를 추출하고, 마스크 이미지, 상품이미지 등을 준비한 뒤 앞서 살펴본 상품 배경 채우기와 같은 원리로 인물이 해당 상품을 들고 있는 모습의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이후 그림이 생성되면 인물과 상품의 접촉 부위를 인페인트를 활용해 보정해줍니다. 여기서는 인물이 핸드크림을 손에 들고 있는 연출이므로, 핸드크림과 손 부분을 인페인트로 보정해준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인페인트 + 후보정 작업으로 전반적인 인물의 디테일을 보완합니다. 예시에서는 인물의 얼굴 정도만 인페인트로 보정했으나, 필요시 배경 전체를 바꾸거나, 옷과 머리 색을 바꾸거나 악세사리를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맺음말

아무래도 이미지 생성 작업 과정을 글과 사진만으로 기술하다보니 꽤나 복잡해보이기도 하는데요, 막상 실제로 일련의 과정을 쭉 진행해보시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괜찮은 이미지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쇼핑몰을 운영하며 상세페이지 제작을 고민하고 계시거나, 상품 이미지 디테일링이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반나절 정도만 공들이면 만족할만한 이미지를 건지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AI 광고모델 이미지 생성 방식에 정답은 없습니다. 애포크에서도 본문에 소개드린 방식 외 다른 접근 방법에 대해서도 추가로 고민하고 연구해보고 그 결과를 공유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애포크 전자책의 일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무단 복제, 배포, 2차 저작물 작성 및 상업적 이용을 삼가주세요.